반응형 노동이슈111 빠른 승진은 약인가? 독인가? 삼성전자의 인사혁신 안은 기업에서 많은 고민을 했다는 점과 그것을 실행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그중에서 하나가 승진제도이다 간단히 하면, 실력이 좋으면 빠르게 승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빠른 승진은 성공의 이정표였다 임금은 물론이거니와 아니, 임금보다는 명예에 더 무게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그도 그럴것이 전통 호봉제에서 선배를 재끼고 승진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기에 나름 비슷한 라인에서의 경쟁에서만 이기면 승진을 할 수 있었다고 보인다. 하지만 현재는 그런 상황이 아니다 80년대생이 임원을 달았다 최초 80년생 여성임원 업계 최초 30대 임원 탄생 등의 타이틀이 간혹 보인다. 개인적으로 연락하며 지내는 분도 있는데 고민이 이만저만은 아.. 2023. 3. 28. 인사담당자가 뽑은 2023년 이슈 1위? (인사담당자 라는 통계를 신뢰할 수 있는가?) 개인적으로는 통계에 관심이 아주 많다 일을 하면서 느끼는 점이고, 나보다 다른 직무에서는 더욱 그러하겠지만 우리는 통계라는 방패 속에서 수많은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통상 그 거짓말은 나의 잘못을 덮거나 경영진의 생각을 포장할 때 많이 쓰는 것 같다 인사담당자가 뽑은 올해의 ~~1위 인사담당자들이 생각하는 ~~~ 채용담당자가 말하는 ~~팁 나는 개인적으로 저런 제목의 기사를 보면 공감이 잘 안된다 오늘도 마찬가지인데 2023년 인사담당자가 생각하는 이슈는 채용 취소 52시간제의 탄력 운영 최저임금 조용한 사직 이직 시장 활성화 HR DT 라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전반적으로 공감이 가지 않고 후순위로나마 공감이 가는 것은 6번 정도이다. 1. 채.. 2023. 3. 28. [노동개혁] 호봉제 유지 기업 세금 혜택 제외 이번 정부는 노동개혁에 대한 여러 의견을 제시하였다 주로 근무시간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이번에는 호봉제에 대한 이야기가 구체화되고 있다. 정확히는 직무/성과주의 체계에 대한 유도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요약하면 직무/성과주의의 임금체계로 전화하는 기업은 현행 유지 or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반대로 호봉제를 유지하면 세금에 있어 디스인센티브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이에 많은 고민이 있던 것으로 보인다. 임금체계 개편에 대한 인센티브는 현재 호봉제를 유지하는 기업들에게 변화에 대한 큰 메리트를 제공하지 못할 것이기에 오히려 변화하지 않는 기업에게 디스인센티브를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이것이 어떤 말일지 유추해 보면 정부 차원에서는 타겟이 정해져 있고, 해당 기업들이.. 2023. 3. 28. ◆ 팀네이버 신입 공채 설명회 요약 ◆ - 2024년 2월 이내 졸업 예정인 학사/석사(전공무관) or 총 경력 1년 미만의 기졸업자 - 남성의 경우 군필 or 면제 총 경력에는 계약직/정규직 경력 포함, 인턴/아르바이트 경력은 제외 - SW개발 : Front-end, Back-end, Android, iOS, Data - 인프라/보안 : Infra Engineering, Security 지원 시에는 부문 선택만 하고, 법인 선택은 하지 않음 - 지원서 접수 : 3/29(수) ~ 4/10(월) 오전 11시 - 온라인 코딩테스트 및 기업 문화 적합도 검사 : 4/15(토) - 서류전형 발표 : 4월 말 - 기술 역량 인터뷰 : 5월 중 - 1784 사옥 투어(기술 인터뷰 합격자 대상) : 6월 초 - 종합 역량 인터뷰 : 6월 중 - 입사 : .. 2023. 3. 28.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2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