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동이슈111 SK 성과급 미지급과 ESG, 회사입장은? SK그룹사에서 ESG를 반영하여 성과급을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직원 분위기는 좋지 않다 먼저 회사의 입장을 요약하면 회사 실적에 따라서 지급하는 경영성과급에 대해서 ESG지표를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정확히는 주가, 탄소배출량 등 지표를 반영하여 성과급을 지급하겠다는 것이다. 자, 먼저 감정을 빼고 생각해보자 경영성과급은 회사의 성과에 따라서 초과 이윤이 발생하면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그 지표는 통상 KPI나 전략과제 등 수치나 정성적으로 반영한다 하지만 일반 직원들은 잘 알지 못한다 복잡하기도 하고, 임원평가와 연동되어 보안을 유지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를 직원들에게 공개하여 나름의 기준을 나름 투명하게 하겠다는 것이 아닌가 싶다 위 명분이 맞다면 회사가 나름 고민.. 2023. 4. 20. 삼성전자, 직원 전세사기 실태조사 실시 약 3년전, 신입 사원이 면담을 요청해왔었다. 신입사원이 인사면담을 요청하길래 퇴직인가? 생각을 했었는데 아주 의외의 이야기를 하더라 결론적으로 본인이 거주하는 영등포구에서 오피스텔 전세사기를 당했다는 것이었고, 이때문에 회사 사내대출에 대해 문의를 하였다 제도에 대한 안내를 떠나서 동생뻘 사원이 그런 사연을 겪었다는 점이 가슴아펐다 그리고 문제는 당시 동기들간 사이가 좋았고, 지방 출신 인원들을 많이 선발했었는데 5명이 같은 오피스텔을 계약했다는 점이었다. 5명 중 4명은 전세사기를 입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 현재는 당시의 손해는 어느정도 커버하였다. 당시 금액이 비교적 적은 점도 있었고, 해당 오피스텔에서 계속 거주권을 인정받아 당장 집을 구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었다 일부 손해는 봤.. 2023. 4. 20. 포괄임금과 고정OT는 다른말!(차이 정리)+근로감독 강화 대부분의 기업에서 포괄임금 혹은 고정OT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인사담당자조차도 이 두단어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둘은 모두 야근 등 초과근무의 일정 부분을 하여도 이를 인정한다 즉, 초과근무 만큼의 보수를 지급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 비율/비중을 제하고 적용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가장큰 차이는 고정OT는 약정된 시간이 있어 이를 초과하면 초과수당을 지급해야 하고 포괄임금제는 약정된 시간을 초과하여도 초과수당을 지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추가적인 시간을 정하는 경우 (많은 기업이 활용하는 월 20시간) 고정 OT는 적법성이 인정되지만, 포괄임금제는 아닐 가능성이 높다 즉, 포괄임금제는 근로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 한하여 인정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포괄임금제와 .. 2023. 4. 18. AI가 인사관리를 대체할수 있을까? AI를 활용하여 인사부분에 확대 적용하는 케이스가 늘어나고 있다. 여러 기업에서 특히 채용분야에 AI기술 접목하여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다. AI의 확대로 인하여 사무환경에서 적용시키는 다는 것은 결국은 업무자동화에 가장 큰 영역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실제로 기업에서도 많은 부분에서 이러한 자동화에 열을 가하고 있고, 이를 통해 단순 반복적인 업무를 줄여나가고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현재는) 주52시간 등 업무시간 감소 분위기에 맞춰 시기 적절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신입 시절만 해도 부서별로 서무 직원이 한명씩 있었다, 이들은 주로 전표를 정리하고, 부서의 근태를 정리하며, 단순한 서류작성을 담당하였다. 이런 업무이다보니 경력이나 연령 등 요건이 필요하지 않았고, 고.. 2023. 4. 10.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