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동이슈123 수습기간 조건 없는데 해고 가능할까? 수습기간을 설정하는 기업은 상당히 많다 이는 신입 뿐만아니라 경력지에게도 적용하는 기업이 많은데 내가 채용업무를 배울 때 수습기간은 최후의 검증 수단이다 라고 배웠었다 즉 서류전형, 면접 이후에 마지막으로 지원자를 검증하는 도구라고 볼 수있다 채용도 사람이 하다보니 실수가 있기 마련이다 매년 수백명을 채용하더라고 나중가면 그런애를 왜 뽑았냐 라고 소리를 듣는 경우가 있다 특히 해당 인원이 정규직으로 채용이 되면 해고조차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계약직으로 채용을 진행하면 우수인재가 유입하지 않을 리스크도 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간혹 그런 질문을 받는다 이 채용은 수습기간 명시를 안해서 수습을 적용하지 않았는데 해고가 가능하냐? 이에 대해서 법적으로 잘 작성된 글이 있어 공유한.. 2023. 8. 17. 사고 사업장을 사전에 알 수 있다면 지원할때 도움이 되지 않을까?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일하다가 죽지 않을 직장찾기.. 타이틀부터 상당히 무거운 내용이지만 이것이 현재 노동시장의 현실이라고 본다. 산업사고, 산재는 하루에도 몇명씩 아까운 목숨을 거두고 있다 최근에 SPC의 경우에도 연초 2건의 연달은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또다시 산재가 발생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AI 등 첨단기술이 늘어나는 상황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경제를 견인하는 것은 아직 제조업이며 여러 현장에서 많은 근로자가 일을 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취지는 공감을 한다 사고의 책임 회피를 막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한다는 것인데 일을 하다보면 상사 특히 대표이사의 법적인 이슈가 걸려있다면 사고 방지를 위해 노력할만한 근거는 충분하다고 본다 최소한.. 2023. 8. 16. 직장내 괴롭힘 신고하고, 발령나도 적법하다?! 직장내 괴롭힘 사건은 항상 이슈이다 기준도 모호하고 피해자와 가해자가 느끼는 수준에 있어 차이가 큰 편이며 무수한 케이스가 발생할 수 있기때문이다 하지만, 그 영향도는 상당히 높다 한번 잘못 판단된 직장내괴롭힘 사건은 해당 기업에 근무하는 다른 이들에게 시그널이 되기에 반드시 철저하게 검토를 해야한다 이렇게 작성했지만 결국은 케이스는 많은데 기준 없고 빡세다는 말이다 그래서 징계업무를 하면서 이런 일은 가해자가 어떤 부분에서 잘못이 있는지 어떤 부분은 잘못으로 보면 안되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거기에 빠른 시간내 분리조치까지 해야하니 인사담당자에게는 고역인 업무임은 확실하다 통상 직장내 괴롭힘은 가해자에게 징계를 하고 이동조치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것이 가장 말이 덜 나오기 때문이다... 2023. 8. 15. 중국집 배달 연봉 1억원, 소송사건 많은 직장인들이 월급을 받는다 그런데 누구는 월급을 월급이라하고 누구는 급여라고 하고 누구는 연봉이라고 한다 어떤이는 총보상이라는 단어를 쓰는 경우도 보았다 이러한 여러 단어가 혼용되어 사용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단어가 어떠한 뜻인지 어렴풋이 인지를 한다 결국 내가 회사에서 받는 현금성 보상 이것을 위에서 언급한 월급 등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단어들은 엄밀하게는 다른 성격이다. 급여와 관련된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급여] 연금 제도에 의해 특정한 상태에 놓인 공무원이나 근로자에게 돈이나 물품을 주는 일. 넓은 의미에 있어서는 공무원이나 근로자에게 근무의 대가로 주는 봉급. 수당까지 포함시키기도 하나, 이에 대해서는 보수(compensation) 또는 임금(wage)이라 칭하고.. 2023. 8. 4.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