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구감소3 KOREA IS OVER? 한국은 정말 소멸 위기에 처했는가? 최근 전 세계에서 가장 신뢰받는 과학 채널 중 하나인 Kurzgesagt – In a Nutshell이 “South Korea is Over”라는 도발적인 제목의 영상을 발표하며, 한국의 출산율 문제를 세계적인 화두로 끌어올렸습니다. 단순한 현상 진단을 넘어서, 인류 전체의 미래를 관통하는 **저출산-고령화의 ‘정치경제적 경고’**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과연 영상은 한국의 어떤 현실을 이야기하고 있을까요?📉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 “0.72명의 사회”영상은 한국의 **합계출산율(TFR)**이 2023년 기준 0.72명이라는 충격적인 수치에서 출발합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2.1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입니다.“현재의 출산율이 지속될 경우, 한국 .. 2025. 4. 13. 한국은 정말 망하는가? (출산율) 2024년 현재, 우리는 왜 아이를 덜 낳게 되었는가?전 세계적으로 출산율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습니다. 특히 OECD 회원국들의 출산율 변화를 살펴보면, 단순한 인구통계적 현상이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의 변화를 반영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OECD 20개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2009년, 2014년, 2019년, 2024년 출산율의 변화를 비교하고, 그 원인을 분석해보겠습니다.OECD 주요국 출산율 비교 (2009 → 2024년) 국가2009년2014년2019년2024년대한민국1.151.210.920.7일본1.371.421.361.3이탈리아1.411.371.291.2스페인1.391.321.231.2프랑스1.992.001.861.83독일1.361.471.541.58영국1.. 2025. 4. 10. [펌] 총선 이후, 부동산에 대한 짧은 생각 (feat : 병세권과 외화자산) 정치적인 생각이나 개인적인 생각을 떠나서 부동산에 대한 본인의 생각과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는 잘 작성되었다고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해당 내용에 100% 동의하는 건 아니지만 반대의 입장이라도 한번 생각하기에 좋은 내용이 많다 1. 두줄요약 - (두줄요약)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에 대한 의심이 번지고 있는데, 그 동안 병세권과 외화자산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해 왔음 - 56조 세수부족이 현실로 드러났는데, 특정 가격 이상 유주택자들을 대상으로 한 아주 강력한 타겟형 세금이 올 거라 전망함 2. 문제점 (1) (증시상황) - 24.01.31, 달러인덱스는 103 정도로 비교적 낮고, 금융당국의 공매도금지는 계속되고 있음. 다만 코스피는 박스권임 - 굳이 분류를 하자면 수출 대기업에 해당하는 삼성전.. 2024. 3.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