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154 [펌] 총선 이후, 부동산에 대한 짧은 생각 (feat : 병세권과 외화자산) 정치적인 생각이나 개인적인 생각을 떠나서 부동산에 대한 본인의 생각과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는 잘 작성되었다고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해당 내용에 100% 동의하는 건 아니지만 반대의 입장이라도 한번 생각하기에 좋은 내용이 많다 1. 두줄요약 - (두줄요약)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에 대한 의심이 번지고 있는데, 그 동안 병세권과 외화자산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해 왔음 - 56조 세수부족이 현실로 드러났는데, 특정 가격 이상 유주택자들을 대상으로 한 아주 강력한 타겟형 세금이 올 거라 전망함 2. 문제점 (1) (증시상황) - 24.01.31, 달러인덱스는 103 정도로 비교적 낮고, 금융당국의 공매도금지는 계속되고 있음. 다만 코스피는 박스권임 - 굳이 분류를 하자면 수출 대기업에 해당하는 삼성전.. 2024. 3. 2. 출산율과 한국 경제 개인적으로 배경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결론은 조금 아쉽지만 큰 방향성은 일치하여 퍼옵니다 출처 : 블라인드 출산율 0.7과 헬조선에 대한 고찰 요새 부갤에서 많은 이들이 자꾸 출산율 0.7 드립치면서 한국 헬조선 드립치는데. 사실 출산율 낮아지는건 범 지구적 현상이고 특히 유교기반이면서 최근 급 물질만능주의가 된 한국. 홍콩. 싱가폴.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권은 0점후반대-1점 초반대로 젤 낮은 1티어임. 한국은 0티어겠지. 2티어 기독교 기반 서유럽 북유럽이 1점대 초중반. 3티어 카톨릭 기반 남미 및 일부 동남아시아가 2점대 초반. 4티어 이슬람과 힌두 기반 중동 및 서남아시아가 2-3점대. 너무 못살아서 피임이 어려운 5티어 아프리카가 3점대 이상. 대충 이정도일거임. 유럽도 .. 2024. 2. 18. 신생아 특례 대출 인구는 국력 인구는 모든 경제지표의 근간이며 미래에 대한 가장 근원적인 준비 사항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인구감소는 국가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그런데 출산률 감소는 주거비용의 상승과 정비례라는 주장에는 아직은 확신이 서지는 못한다 다만, 정비례까지는 아니어도, 비례관계는 맞다고 본다 아니, 영향을 주는 것은 맞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다른곳에 (비경제적인 부분) 있다고 본다 하지만. 현재의 기조에서 정부에서 신생아 특례 대출을 출시한 자체는 찬성이다. 반면, 현재의 경제 상황에서 가계 대출을 늘리는 점은 불만이다. 참 어려운 이슈이고 개인적으로 생각 정리가 덜 되었는데 복잡한 생각을 떠나서 이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이 있다면, 알고 갔으면 하는 차원서에 글을 하나 가져왔다 .. 2024. 2. 18. 종합 부동산 대책 발표 찌라시 (진짜?) 종합부동산 대책에 대해서 발표 예정이라고 찌라시가 돌았다 구체적으로 추석 전쯤 발표할 것이라 이야기를 붙이는 인원도 있었는데 개인적으로는 약간 과하다는 느낌과 처음에 몇개는 그럴수도 있겠다 싶었다 뒤로 갈수록 본인들의 이해관계를 하나씩 붙인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찌라시는 항상 그렇듯 찌라시 일뿐이다 그러나, 그 속에서 최소한 이 글을 작성한 사람들의 속마음과 바람이 반영된 것은 맞을 것 같다 부동산 경기는 다시 상승중으로 보인다 이제는 회복세라는 말을 쓰는 것도 상당히 부담인데 서울의 임장을 다니면서 느끼는 바로는 매매가는 21년 말 수준으로 회복을 하는 분위기이고 전세가도 작년대비 21년 수준으로 회복한 곳이 상당히 보인다 그럼에도 회복이 잘 안되는 곳은 상당한데 .. 2023. 9. 15. 이전 1 2 3 4 5 6 7 8 ··· 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