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com, pub-7490962084841371, DIRECT, f08c47fec0942fa0 대한민국에서 살아남기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67

현대미술관은 2번이상 가야합니다. 개인적으로 미적 감각이 좋은 편은 아니지만 예술에서 어느정도의 영감을 받는 것은 사람이라면 공통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 현대미술관에 방문하여 간만에 아주 오랜 만에 좋은 감정을 받고 이에 대해서 공유해보고자 한다 ​ 먼저 현대미술관에서는 이건희 컬렉션 중 이중섭 작품에 대해서 전시하고 있다 해당 예약은 온라인으로 가능하면 일부만 현장에서 예약을 받고 있는데 평일의 경우 점심시간 전후로 예약이 마감된다 (그래서 나는 못갔다) ​ 그러면 약간 아쉬운 마음을 바탕으로 다른 전시를 보게되는데 현대미술관에서는 4000원에 다른 작품을 볼 수 있도록 하고있다 개인적으로는 프로젝트 해시태그와 페터바이벨의 전시가 끌렸다. ​ 그런데 우연하게 잘못들어가서 딱 그 2 전시만 못보고 돌아왔다 왜냐고? 다른 전시에서 받은.. 2023. 3. 26.
비혼 선언하면 경조비 줘야 하는가? 신입 채용은 역대 최악으로 전년대비 약 1/8수준으로 채용이 진행될 계획이라고 한다 반면, 회사의 인재유치 경쟁은 가속화되고 있다. 내가 현장에서 느끼는 수준은 부익부 빈익빈의 가속화이다. ​ 능력이 좋은 사람들은 더 좋은 처우로 억대 연봉이 손쉽게 가능하지만 반대로 역량이 우수한 신입은 채용의 기회조차 박탈당하고 있다 참으로 아이러니하지만 노동시장에 참여한 각자의 이야기를 보면 각각은 이해가 된다 합쳐지면 이해가 안 되지만 ​ ​ ​ ​ 인재 유치 전쟁은 기본급 등 급여성 처우의 경쟁으로 이어졌고 여기서 출혈이 심한 기업들은 제2의 조정값으로 복지후생을 만지고 있다 ​ 그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자극적인 것은 (다르게 말해 attractive 한 것은) 비혼에 대한 복지가 아닌가 싶다 ​ ​ ​ ​ 복지.. 2023. 3. 26.
퇴근 후 업무지시, 법적으로 막을 수 있을까? 퇴근 이후, 혹은 출근길에 업무상 연락을 받았던 경험 통계에서는 70% 라지만 99%라고 자신한다 ​ 이 경험이 없는 직장인이 있을까? ​ ​ ​ ​ 업무상 퇴근 이후에 연락이 필요한 경우는 있다 보안업무라든지, 보안산업이라든지 (시큐리티 말고, 연속 가동을 하는 산업) 의료, 전산 등 생명과 관련된 부분도 있을 것이다 ​ 인사, 전략, 재무 담당자들은 어느 순간 저녁에 연락이 없으면 오늘 무슨 일 있나? 라고 반문하는 이상한 습관도 생긴다 ​ 그런데 이런 퇴근 후 업무 지시에 대해서 법적으로 막아보겠다고 한다 윤정부에서 여러 가지 제시한 노동개혁 중 하나인데, ​ '연결되지 않을 권리' 라고 명명했다 ​ 과거에 '잊혀질 권리' 느낌이다. ​ ​ ​ ​ 이 논란이 나온 것은 코로나 시기 재택근무의 확산과.. 2023. 3. 26.
영원한 호황은 없습니다. (토스, 줌 실적악화) 코로나로 인하여 변화의 속도는 가속이 붙었다 정말 많은 부분이 변경되어 하나씩 언급하기도 어려운데 그중에서 금융의 비대면화와 대화의 비대면화는 가장 대표적인 변화라고 보인다 ​ 그러면서 개발자의 전성기가 왔다 높아진 몸값과 재택근무 ​ 누구라도 IT기업을 선호하는 문화가 되었고 IT업계는 높은 임금으로 서로 경쟁했다 대 개발자 개척시대가 된 것이다. ​ 그런데 또다시 변화는 빠르게 찾아왔다 실적의 악화는 빨랐고 회사는 이에 대응하고 있다 ​ 개인적으로 토스와 줌을 자주쓰는 입장에서 아래 기사들은 아쉬움이 많다 ​ 영원한 것은 없다 다만, 누가 조금 더 잘 적응하고 잘 리드하느냐의 차이일뿐 ​ 이제 시장에서 개발자좀 뺏어와야겠다 ​ [단독] 토스, 대규모 개발팀 개편…권고사직 '칼바람' 논란도 ​ 지난해 .. 2023.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