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안 개요
2025년 4월, 국민의힘이 추진 중인 이른바 **‘가짜뉴스 규제법’(가칭 디지털플랫폼 책임법)**이 국회 상임위 문턱을 넘으며 논란이 본격화됐다.
이 법은 유튜브, SNS 등 디지털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허위 정보와 명예훼손 콘텐츠를 플랫폼 책임하에 차단·삭제할 수 있도록 하고,
허위 정보 유포에 따른 손해 발생 시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것이 골자다.
정부는 “악성 가짜뉴스로 인한 사회 혼란 방지를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설명하지만,
언론계와 시민단체, 야권은 “표현의 자유 침해이자 정권의 비판 억제용”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 법안 주요 내용 정리
조항 내용
|
세부 설명
|
플랫폼 책임 강화
|
유튜브, 페이스북 등 허위 정보 유통 시 삭제·차단 책임 부여
|
징벌적 손해배상제
|
피해자 청구 시 일반 배상의 3배까지 손해배상 가능
|
허위정보 정의 모호성
|
“사실과 다른 정보” 기준 명확치 않아 남용 우려
|
모니터링 시스템 의무화
|
플랫폼에 AI 기반 모니터링 기술 도입 요구
|

💬 찬반 입장
🔹 찬성 측 (정부·여당)
- “가짜뉴스는 민주주의 파괴…국민 보호 차원의 조치 필요”
- “해외 유튜버·악성 채널에 대한 대응 현실화 필요”
🔸 반대 측 (언론계·시민단체·야당)
- “정권 비판을 막기 위한 사실상의 검열 도구”
- “누가 ‘가짜’를 판단하나? 진실의 독점은 위험”
🎯 이슈의 쟁점 3가지
- ‘허위 정보’의 정의 문제
- ‘사실이 아님’이라는 모호한 기준으로 자의적 해석 가능성
- 예: 풍자 영상, 패러디 콘텐츠도 규제 대상이 될 수 있음
- 플랫폼의 검열 권한
- 민간 플랫폼에 강제 조치 권한을 부여하면 자율성 침해
- 표현의 자유 vs 이용자 보호라는 충돌 발생
- 징벌적 손해배상의 현실성
- 일반 시민도 고의 여부 없이 고액 손해배상 청구 가능
- 언론 자유 위축 우려

🌐 해외 사례 비교
국가
|
규제 내용
|
표현의 자유 논란
|
독일
|
허위 정보 삭제 법(2018), 위반 시 벌금
|
초기엔 표현 위축 논란, 지금은 정착
|
프랑스
|
선거 기간 중 SNS 허위정보 차단 허용
|
정치 편향적 삭제 우려 있음
|
미국
|
플랫폼 책임 제한(섹션 230) → 규제는 개별 플랫폼 중심
|
표현의 자유 철저 보장 우선
|
🧭 한국 사회에 던지는 질문
- 우리는 지금 ‘가짜뉴스’라는 이름 아래 비판 여론을 통제하려는 것인가,
- 아니면 정말 허위 정보로부터 국민을 지키기 위한 것인가?
이 질문은 지금도 정치권과 언론계,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 계속되고 있다.
🔚 마무리
디지털 시대의 정보 왜곡 문제는 명백한 사회적 리스크다.
하지만 그에 대한 해법이 ‘통제’일지, ‘자정’일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쟁이 깊다.
중요한 건, 누가 기준을 정하고 어떻게 시행하느냐에 대한 투명성과 민주적 합의다.
정치권이 잊지 말아야 할 건, ‘표현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마지막 보루라는 사실이다.

#가짜뉴스규제법 #표현의자유 #유튜브검열 #디지털플랫폼책임법 #SNS규제 #정치검열 #언론탄압 #징벌적손해배상 #정부규제논란 #4월이슈
'오늘의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강 편의점, 왜 사라졌을까? (2) | 2025.04.22 |
---|---|
대만 톱스타 왕대륙, 살인미수 혐의로 체포…연예계 충격 (1) | 2025.04.22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4차 방류 시작: 진정한 ‘안전’은 무엇인가? (0) | 2025.04.14 |
(펌) 김수현 김새론 정리(2025.4.09 기준) (3) | 2025.04.10 |
뉴진스 vs 어도어 판결, 핵심 내용 총정리 (1) | 2025.04.03 |
댓글